[디지털경제뉴스 박시현 기자] 유아이패스가 ‘글로벌 지식근로자 서베이’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정규직 근로자가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방법, 기술적 한계와 우려사항, 비즈니스 자동화와의 결합 기회 등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유아이패스가 리서치스케이프에 의뢰해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 미국, 호주, 일본, 싱가포르, 한국, 홍콩,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전 세계 9개국의 9,0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의 93%가 직장에서 일정 수준의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응답, 이번 조사에 참여한 타 국가 대비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 응답자들은 이러한 번아웃 문제를 해결하고 직장 내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업무량 경감(60%), 생성형 AI 등 AI 및 자동화 도구에 대한 접근성(36%), 기술 지원(34%)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한국 응답자의 63%는 생성형 AI의 결과물을 신뢰한다고 응답했지만, 실제 직장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도는 43%로 전 세계 6위를 차지해 신뢰도와 실제 사용 수준 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응답자는 전 세계 다른 응답자와 마찬가지로 보안 위험(33%), 부정확한 결과 또는 허위 정보(33%), 그리고 올바른 정보를 입력하는 기술 부족(24%)과 관련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은 조사 참여 국가 중 생성형 AI 도구 사용과 관련한 정책을 마련하지 않은 기업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35%)로 확인됐다.
조의웅 유아이패스 코리아 지사장은 “생성형 AI는 직장에서의 번아웃을 유발하는 과중한 업무를 줄일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한국의 디지털 경제를 강화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성형 AI와 비즈니스 자동화 같은 기술을 광범위하게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가지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은 근로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 비즈니스 성장을 더욱 촉진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생성형 AI와 비즈니스 자동화의 도입은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고 번아웃을 줄인다. 직장에서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한국 응답자의 48%가 이를 통해 업무 관련 작업 시간을 단축했다고 응답했다. 39%는 업무 소요 시간을 10시간 이상 단축했으며, 이렇게 절약된 시간을 창의적 작업(42%), 동료와의 상호작용(36%), 가족과 보내는 시간(32%)에 재투자했다고 답했다. 한편, 비즈니스 자동화를 사용하는 한국 응답자의 43%는 주당 10시간 이상을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형 AI와 비즈니스 자동화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점을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두 기술을 함께 활용한다고 응답한 근로자의 45%는 직무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44%는 생산성 향상을 경험했고 작업을 더 빨리 완료했다고 응답했다. 37%는 일과 삶의 균형이 개선되었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554명의 한국 정규직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성형 AI 사용 사례 및 응용: 한국 근로자들은 ▲다른 언어로 된 정보 번역(33%) ▲기업 데이터 정리 및 분석(29%) ▲브레인스토밍(27%) ▲커뮤니케이션 초안 작성(27%) 등의 다양한 업무에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응답 평균인 ▲커뮤니케이션 초안 작성(38%) ▲브레인스토밍(34%)과 대비되는 결과다.
▪비즈니스 자동화 사용 사례 및 적용: 한국 근로자들은 비즈니스 자동화를 통해 ▲데이터 분석(46%) ▲이메일 전송 및 응답(31%)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세트 생성(28%) 등의 업무에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직장 내 트렌드 및 과제: 34%의 한국 근로자가 지난 6개월 동안 매우 강한 수준의 번아웃을 체감했다고 답했다. 한국 근로자가 직장에 바라는 가장 큰 변화는 ▲일상적 업무 관리 시간 단축(45%) ▲업무 환경 유연성 확대(39%) ▲수동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35%) 순으로 나타났다.